연구자에 따른 차이
Cosbey, Johnston, Dunn and Bauman은 감각통합의 차이가 있는 어린이가 또래보다 혼자 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규칙이 있는 게임으로 조직화된 놀이로의 전환은 또래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DCD가 있는 어린이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가 발견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겠습니다.
목차
1. Cosbey, Johnston and Dunn 연구
Cosbey, Johnston and Dunn은 감각통합의 차이가 있거나 없는 아동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감각통합의 차이가 있는 아동이 감각통합 장애가 없는 또래보다 제한된 소셜 네트워크를 보이는 경향이 있고 친구와 더 적은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아동의 활동 선호도는 두 그룹에서 유사했지만 감각통합의 차이가 있는 아동은 공식적인 규칙과 명확한 기대가 있는 활동에 대한 즐거움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흥미롭게도 감각통합의 차이가 있는 어린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세 가지 활동(조용한 탁상 활동, 가상 놀이,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은 또래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세 가지 영역이었습니다.
2. Hochhaser and Yeger 연구
Hochhaser and Yeger은 ASD가 있는 어린이는 활동 범위가 제한적이고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또래보다 작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갖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ASD 아동의 놀이, 여가 사회적 참여를 조사한 다른 연구자들은 사회적 능력과 감각처리 능력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감각통합 능력은 ASD가 있거나 없는 어린이 가족의 가족활동 선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놀이, 여가 및 사회참여가 감각통합의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습니다 감각통합의 차이가 ASD와 같은 다른 조건과 동반될 때 그 영향은 훨씬 더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제한된 연구는 감각통합과 청소년의 일상생활 사이의 관계를 조사합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위험 감수 및 감각추구 행동은 전형적인 청소년의 특징입니다.
3. Zuckeman 연구
Zuckeman은 감각추구를 '다양하고 참신하고 복잡하며 강렬한 감각과 경험을 추구하고 그러한 경험을 위해 신체적, 사회적, 법적, 재정적 위험을 감수하려는 의지'라고 정의했습니다. 몇몇 증거는 더 많은 감각추구 행동에 대한 청소년이 비행 행동에 더 많이 참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10대들은 새로운 자극에 대해 강렬한 반응을 보이며 이러한 자극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과 기회를 찾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다른 연구자에 따르면 소년법에 관련된 청소년은 다른 10대보다 감각추구 행동이 더 적고 감각 회피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두 발견은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이론적 모델을 사용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감각추구라는 용어는 사용되는 이론적 틀에 따라 다른 의미를 함축합니다. 현재 연구에서 명확하지 않은 것은 능동적인 감각추구 및 회피 행동이 비행 행동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가 중요하겠습니다.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아기 실행 어려움의 해결 (0) | 2022.10.06 |
|---|---|
| 휴식, 수면, 교육, 일과 감각통합의 관계 (0) | 2022.10.04 |
| 감각통합과 일상생활의 관계 (1) | 2022.09.29 |
| 감각 통합과 일상생활 사이의 중요한 관계 (0) | 2022.09.28 |
| 케이스 스터디 Joe (0) | 2022.09.27 |








